정부가 오는 14일을 광복 70주년을 맞아 내수 경기 진작 차원에서 임시 공휴일로 지정해 기대감이 제시되고 있지만 의료계의 어려움은 더욱 배가되는 모습이다.
갑자기 정해진 임시공휴일로 인해 사전에 예약된 환자들에 대한 진료를 대부분 정상적으로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이날 근무하는 직원들에게는 휴일 수당까지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병원들의 경우 의료진은 정상진료를 하고, 행정부서의 경우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쉬도록 방향을 잡고 있다.
한 대학병원 원장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메르스) 사태로 인해 병원의 타격이 큰 상황에서 갑자기 임시공휴일이 지정되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미 예약이 되어 있는 환자들에 대한 취소를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갑자기 휴일수당까지 지급하면서 진료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같은 상황은 지방은 물론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경우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의원들은 14일에도 정상 진료를 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임시공휴일에도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직원들의 불만과 상대적 박탈감이 크다는 점이다.
한 의원 원장은 “이미 예약된 환자들로 인해 쉴 수는 없는 상황이다”며 “나도 그렇지만 직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더욱 클 것이기 때문에 직원들 눈치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의원 원장은 “이런 결정은 최소 한달전에는 내려졌으면 좋겠다”며 “이번 조치를 통해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는 곳들이 생각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임시공휴일도 정부가 지정한 공휴일인 만큼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14일 쉬지 않는 병의원에 공휴가산을 적용한다는 계획이지만 의료계는 “의료계에 대한 배려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정해진 것 같아 황당하고,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