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PET검사, 유방암 재발 여부도 가늠 -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준 교수팀 496명 검사 분석 결과
  • 기사등록 2015-02-24 10:46:56
  • 수정 2015-02-24 10:48:01
기사수정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시행한 FDG-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전자 단층촬영) 검사 수치를 살피면 해당 환자의 유방암 재발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어 보다 적극적인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PET 검사 결과가 해당 종양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안성귀·박종태 교수팀은 2004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유방암 수술을 받기 전에 FDG-PET 검사를 시행한 4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섭취계수(SUV)에 따른 생존분석을 시행하고 수술 전 시행한 FDG-PET 검사에서 종양이 섭취하는 포도상 표준섭취계수가 증가할수록 악성종양의 재발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표준섭취계수는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그리고 질환진행상태(病期)와 독립 된 조건으로 종양 재발에 관여하는 인자였으며, 상기 조건들과 결합하면 보다 더 정확하게 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수팀은 2004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유방암 수술 전 FDG-PET 검사를 시행한 496명의 환자를 표준화섭취계수(SUV) 4를 기준으로 분류(4이상=197명, 4미만=299명)한 후, 6년 동안의 재발확률을 살폈다.

SUV가 4미만인 환자군은 95.6%가 재발되지 않는 삶(recurrence-free survival, RFS)을 살았으며, 4이상인 환자군은 86.8%가 RFS를 보여 표준화섭취계수가 재발확률에 의미 있는 자료임을 입증(P<0.001)했다.

그림. 표준화섭취계수에 따른 ‘수술 후 재발되지 않는 삶’ 그래프
4-4.jpg

표준화섭취계수는 환자 나이, 종양 크기, 림프절 전이, 에스트로겐 수용여부, HER2 같은 다른 예후인자와 함께 다변량생존분석을 시행했을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표준화섭취계수가 유방암 재발과 연관 있다는 점은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군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교수팀은 328명의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를 표준화섭취계수 4를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했으며 해당 군에서는 높은 표준화섭취계수가 높은 재발 확률을 보일 뿐 아니라, 종양의 크기나 병기에 비해 더욱 중요한 임자임을 알아냈다. (종양크기 P값 : 0.706, 림프절 전이 p값 : 0.451, HER2 여부 P값 : 0,277, 표준화섭취계수 P값 : 0.033)
 
4-8.jpg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유방외과 정준 교수는 “수술 시행 전에 일괄적으로 시행하는 FDG-PET 검사가 유방암의 특성과 재발가능성을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제시해 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질환 진행 단계를 살피는 데 사용됐던 FDG-PET 검사가 유방암의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가늠케 해주는 기반(플랫폼) 검사로써 유방암의 포도당 대사증가 현상을 이해하고, 관련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수팀의 논문은 유방암 관련 세계적 학술지 ‘유방암 연구 (Breast Cancer Research) IF=5.88)’ 2015년 1월호와 2014년 9월 Plos One (IF=3.55)에 연이어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2474235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