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가 18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2013) 주요 결과를 발표한다.
성인(만19세이상) 남자의 현재흡연율은 2007년 이후 정체상태를 보이다가 소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30-40대 절반이 흡연자였다.
남성의 흡연율은 42.1%로 OECD 국가 중 2번째로 높으며, 30대, 40대는 54.5%, 48.0%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여성의 흡연율은 6.2%로 2008년 이후 6~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표)현재흡연율 추이, 성별, 1998-2013
(표)남자 현재흡연율 추이, 연령별, 1998-2013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은 경향이 지속되고 있고,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차이도 1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남성 흡연자 2명 중 1명(56.5%)은 최근 1년 동안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고, 5명 중 1명(19.3%)은 1개월 내 금연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6년간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직장 및 가정에서 간접흡연 노출
현재비흡연자(만19세이상) 2명 중 1명은 직장 실내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으며, 10명 중 1명은 가정 실내에서 노출되었다.
직장인 비흡연자 2명 중 1명(47.3%)은 직장 실내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에 노출되었으며, 최근 3년간 증가 경향을 보였다.
가정 실내 간접흡연 노출률은 감소추세이나, 비흡연자 10명 중 1명(10.9%)은 가정 실내에서 담배 연기에 노출되고 있다.
2012년부터 공중이용시설 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장소 실내에서 비흡연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비율은 55.5%(남자 61.1%, 여자 52.2%)였다.
◆흡연자, 건강행태 불량·만성질환 유병률도 높아
현재 흡연자는 평생비흡연자에 비해 건강행태가 불량하였고, 만성질환의 유병률도 높았다.
또 현재 흡연자는 평생비흡연자에 비해 고위험음주, 신체활동부족, 에너지 및 지방 과잉섭취의 비율이 높고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폐쇄성폐질환 유병률도 높았다.
특히 고위험음주, 에너지 및 지방 과잉섭취, 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의 양과도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
(표)흡연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남자(19-64세), 2009-2013 자료통합
(표)흡연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여자(19-64세), 2009-2013 자료통합
◆고위험음주율, 우울증상경험 등 감소
성인의 고위험음주율, 스트레스인지율, 우울증상경험률은 감소하였고, 신체활동실천율과 주관적 건강인지율은 증가하였다.
고위험음주율은 1.4% 감소하였고, 월간폭음률은 소폭 감소하였다.
평소 일상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거나 우울증상을 경험한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중등도이상(걷기 포함) 신체활동실천율은 2005년부터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 3년간 감소폭이 둔화되었다.
◆나트륨 섭취 감소, 1일 1회 이상 외식 증가
에너지 섭취는 증가했지만 나트륨 섭취는 감소하였고, 하루 1회 이상 외식이 증가하였다.
에너지 섭취비율은 2012년에 비해 4.6% 증가하였고 에너지 및 지방 과잉섭취자 분율도 2.0% 증가하였다.
나트륨은 목표섭취량(2,000mg) 대비 섭취분율이 2012년에 비해 약 10% (227.3%→200.6%)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2배가 넘는 수준이었다.
아침식사결식률은 최근 3년간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하루 1회 이상 외식률은 2012년에 비해 6.5% 증가하였다.
◆비만과 고혈압 소폭 감소 vs 당뇨병과 고콜레스테롤혈증 증가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인 비만과 고혈압은 소폭 감소하였고, 당뇨병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가하였다.
비만은 31%~32% 사이에서 변동하고 있으며, 고혈압은 최근 3년간 감소 경향을 보이며 2012년에 비해 1.7% 감소하였다.
당뇨병은 2012년에 비해 2.0% 증가하였고,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가추세가 지속되어 2005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다.
고혈압의 인지율과 치료율은 1998년에 비해 3배 증가하였고, 조절률은 10배 증가했으나 2007년 이후 정체상태이다.
(표)고혈압 관리수준 추이, 만30세 이상, 1998-2012
당뇨병의 인지율과 치료율은 ‘98년에 비해 각각 2배, 3배 증가하였으나, 조절률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표)당뇨병 관리수준 추이, 만30세이상, 1998-2012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 건강 관련 삶의 질 낮아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을 분석한 결과(2010-2012), 건강생활습관은 청·장년기에 비해 양호하였으나 만성질환과 기능상실로 인해 건강 관련 삶의 질은 낮았다.
노인 4명 중 1명(24.0%)은 건강문제나 장애로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에 제한을 받고 있었고, 건강 관련 삶의 질 지수도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노인에서 가장 낮았다.
(표)노인의 건강수준, 만65세이상 2010-2012 자료통합
조사항목 9개 중 노인에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흔한 건강문제는 고혈압(63.3%), 백내장(35.8%), 비만(33.8%), 폐쇄성폐질환(29.9%), 골관절염(24.0%) 순이었다.
여자에서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았고, 특히 관절염은 남자의 4배였다.
폐쇄성폐질환은 흡연의 영향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3배 높았다.
노인의 약 75%가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노인의 건강관리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팀을 이루어 포괄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표)노인의 건강수준 및 만성질환, 2010-2012 통합자료(%)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