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라파마이신’ 신장이식 환자 거부반응 감소에 효과적 - 서울성모병원, 이식장기 예후 향상에 기여…면역조절기능 불균형 해소
  • 기사등록 2014-08-08 15:34:00
  • 수정 2014-08-08 15:35:20
기사수정

신장이식 환자가 수술 후 복용하는 라파마이신(mTOR 억제재) 면역억제제가 이식받은 장기의 거부반응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장기를 이식 받으면 환자의 면역 시스템이 이식받은 장기를 공격하는 거부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거부반응이 일어나면 이식받은 장기가 제 기능을 못해 환자의 생명이 위험해 질 수 있으므로, 거부반응을 줄이는 것이 이식 수술 만큼이나 중요한 과제이다. 

많은 이식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타크로리무스 면역억제제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면역조절세포인 Treg세포는 억제하고, 거부반응과 밀접한 염증을 일으키는 면역활성세포인 Th17세포는 억제하지 못하는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다.
8-1.jpg

[그림1] 이식환자의 면역활성과 면역조절의 불균형

이러한 불균형이 생기면, 환자가 이식 받은 신장이 환자의 몸에서 거부반응을 일으켜 신장이식수술을 실패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선도형 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 김경운, 정병하, 조미라, 양철우 교수팀은 이러한 면역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장이식환자 5명에게 라파마이신을 복용하도록 하자, 타크로리무스를 복용하는 환자보다 거부반응과 밀접한 면역활성세포는 억제하며, 면역조절세포는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8-2.jpg

또 타크로리무스를 복용했던 신장이식 환자가 라파마이신으로 변경하여 복용하자, 체내에서 면역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D8+T세포도 증가함을 최초로 확인하였다.
8-3.jpg

연구책임자인 서울성모병원 선도형 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 양철우 교수는 “타크로리무스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신장이식환자가 면역기능의 불균형이 발생할 시, 라파마이신 면역억제제로 약을 바꿔 복용할 것을 권하며, 이를 통해 이식 받은 신장의 거부반응을 줄여 신장이식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면역학회 (British Society for Immunology) 공식학술지인 ‘Immunology’ 6월호에 게재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0747959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