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행정법원 “보건복지부 요실금 관련 부당행정처분 취소하라” - 요양기관 업무정지, 5배수 과징금 등, 산의회 ‘환영’…현행 요실금 고시 …
  • 기사등록 2014-07-27 11:28:35
  • 수정 2014-08-05 19:24:40
기사수정

대한산부인과의사회(이하 산의회, 회장 박노준)가 보건복지부의 부당한 요실금 사건 행정처분을 취소하라는 원고 승소판결을 내린 법원의 결정에 환영의 의사를 나타냈다.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24일 보건복지부가 요실금 사건과 관련해 요양기관 업무정지, 5배수 과징금 등의 부당한 행정처분을 내린 것에 대해 산의회 회원들이 제기한 행정소송 2건에 대해 복지부의 부당한 행정처분을 취소하라는 원고 승소판결을 내렸다.

이에 산의회는 “이번 법원의 결정에 대하여 환영한다”며 “올해 들어 행정법원은 벌써 4건 연속 산의회 회원들의 주장이 타당하므로 행정처분을 취소하라고 사필귀정의 원고 승소 판결을 하였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사건은 모 생명보험사가 산의회 회원들과 국민들을 사기꾼으로 몰아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한 요실금 기록지 사태가 발생한 후 보건복지부의 부당한 행정처분에 대해 산의회 회원들이 행정소송을 이어온 지 6년만의 쾌거이다”고 덧붙였다.

요실금 수술과 관련한 국내 분쟁의 발단은 모 생명보험사가 1998년 요실금 수술시 500만원의 보험금을 지급하겠다는 보험 상품을 약 200만 명에게 판매한 후 2000년 초 간단한 요실금 수술법이 국내에 소개되고 2006년 건강보험 적용까지 받게 되자 요실금 수술이 급격히 증가하면서부터이다.

간단한 요실금 수술법의 개발로 인한 수술의 증가는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의 공통적 현상이었다.

이에 세계에 유례없는 요실금 수술 고시 2007-3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요실금 수술 전 여성들에게 요역동학검사를 강제하고 요실금 수술 결정 여부를 요누출압으로 결정하는 학문적으로 있을 수 없는 고시였다.

이와 관련하여 의사, 국민들의 문제 제기 및 KBS, MBC 방송의 문제점 지적 및 개선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논란 속에 과연 여성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게 수술 전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유용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미국(Value study)과 유럽(VUSIS study)에서 각각 3년간의 대규모 다기관 검증연구 계획이 2009년, 2010년 발표되었고 국내의 산부인과학회, 비뇨기과학회 및 본 회도 해당 연구결과를 지켜보기로 하였다.

미국, 유럽의 3년의 검증 연구결과는 예상했던 대로 요실금 수술 전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한 그룹이나 시행을 하지 않은 그룹 사이의 어떠한 수술 결과의 차이점도 없음이 명백히 증명되었고 요실금 수술 전 요역동학검사의 유용성은 없다는 것이었다.

산의회는 “이런 상황에서도 복지부는 학문적 진실을 외면하고 대한민국 모든 여성에게 요실금 수술 전 요역동학검사를 강제하고 있다”며 “현 요실금 고시에 어떠한 객관적인 수술결정 기준도 없으면서 요역동학검사를 요실금 수술 진료비의 삭감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 이는 현 고시의 모순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부분이다”고 지적했다. 

즉 연달아 4건의 행정소송에서 패소한 복지부는 더 이상 요실금 수술 억제만을 위하여 학문적 근거도 없이 환자들에게 불편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국민과 의사를 위한 부서로 돌아와야 한다는 것이다.

산의회는 “복지부는 요실금과 관련하여 패소한 사건에 대하여는 항소를 포기하고 부질없이 산의회 회원들에 대하여 내린 행정처분에 대하여는 자발적으로 철회하는 결자해지의 태도를 보여야 하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학문적 근거가 없이 여성들에 대하여 침습적 요역동학검사를 강요하고 있는 현행 요실금 고시를 하루 빨리 세계적 기준에 맞게 개선하기를 권고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0642807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노년근골격의학회 권순용 회장 “노인의학 다학제 진료 수가 신설 등 필요”
  •  기사 이미지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24춘계학술대회 첫 지방 개최…약 600명 참석
  •  기사 이미지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서울국제학술대회 개최…25개국 600명 이상 참석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대한비만연구의사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