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개숙인 남성갱년기, 발기부전 ‘적신호’
  • 기사등록 2014-02-21 16:41:38
  • 수정 2014-02-21 17:03:56
기사수정

갱년기라고 하면 여성들의 폐경 직후로 생각해, 여성호르몬 부족으로 발생되는 증상이 떠오르지만 사실 남성도 나이가 들면 남성호르몬 부족으로 갱년기가 나타난다. 단지 그 증상이 조금씩 진행되기 때문에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느끼더라도 갱년기 증상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문제가 야기된다.
1-1.jpg

대한남성갱년기학회에 따르면 실제 40대 이상 남성 2~3%, 50대 12%가 남성갱년기 증상을 호소한다고 한다. 이처럼 50대 전후부터 발생하여 그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해, 60세 이후에는 약 30% 가량의 남자에게서 나타난다.

이러한 남성갱년기 증상으로 성기능 저하에 따른 성욕감퇴, 발기부전, 피로감, 우울증, 지적증력 저하, 근육량과 근력 감소, 골밀도 감소, 여성형 유방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원인은 뇌, 고환의 노화현상에 따른 남성호르몬의 감소와 과도한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 및 고혈압, 당뇨, 간질환 같은 신체적 요인 등이 있다.

발기부전수술센터 아담스비뇨기과 이무연 원장은 “특히 중년 남성이 겪는 대표적인 남성갱년기 증상은 발기부전이다”며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무분별한 정보나 치료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발기부전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자신의 성기능에 대해 정확히 진단받고 근본 치료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남성갱년기 치료는 어떻게?

남성호르몬 검사는 간단한 혈액검사로 가능하며, 15분 이내면 결과를 알 수 있다. 간기능 검사, 콜레스테롤검사 등을 병행해서 남성호르몬수치가 낮게 나타나면 본격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주로 직접 테스토스테론을 보충시켜 주는 남성호르몬보충요법을 통해 남성갱년기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이무연 원장은 “하지만 남성호르몬주사를 정력제처럼 남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남성호르몬 수치가 부족한 사람에게는 특효약이 될 수 있으나, 발기부전과 같은 성기능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호르몬주사를 맞으면 오히려 독이 된다.
 
고환이 위축되거나 심혈관계질환, 간질환 등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며, 전립선암의 성장을 촉진시킬 우려도 있다”고 강조했다.

발기부전과 같은 성기능장애가 있을 때는 갱년기 치료와 더불어 음경 보형물삽입술 같은 수술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사진제공: 아담스비뇨기과)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9296837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