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악성코드 은닉된 모바일 게임 앱 각별한 주의 요망” - 악성코드에 의해 스마트폰 정보유출, 스마트폰 이용자 10대 안전수칙 배포
  • 기사등록 2013-08-09 18:55:17
  • 수정 2013-08-09 19:26:26
기사수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가 최근 악성코드가 은닉된 모바일 게임 앱이 사설 앱스토어(일명 블랙마켓)에서 유포되고 있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신뢰할 수 없는 블랙마켓에서 유포되는 Assaulter 등 모바일 게임 앱에 악성코드가 은닉되어 있으며, 이를 다운받아 실행할 경우 은닉된 악성코드에 스마트폰이 감염된다는 것이다.

관련 게임으로는 Assaulter, Defen-GAstro, FruitNinja, CityJump, steamball, glowpuzzle, zombie_cake, saving_private_sheep, picnic_mayhem, bottle_shoot, BeeAvenger, MiniPlane 등이 있다.

이 악성코드는 전화번호부, 문자, 통화목록, 개인일정 등 정보절취, 사용자위치정보 수집, 도청과 도촬을 하거나 스마트폰 초기화 및 내장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탐지된 위장 앱을 유포한 사이트에 대해서는 관련 앱을 제거하고, 이를 치유할 수 있는 모바일 백신프로그램 보급조치를 취했지만 블랙마켓 사이트가 수시로 생성되고 악성코드가 은닉된 앱이 유포되는 만큼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서의 앱 다운을 금할 것을 당부했다.

미래부는 PC를 넘어 스마트폰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가 점차 다양화되고 지능화 되고 있으므로 스마트폰 이용자는 반드시 모바일 백신 프로그램 사용을 생활화 하고, 악성코드 감염 등에 의한 스마트폰의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이용자 10대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

<스마트폰 이용자 10대 안전수칙>
1. 의심스러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하지 않기
2.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 방문하지 않기
3. 발신인이 불명확하거나 의심스러운 메시지 및 메일 삭제하기
4. 비밀번호 설정 기능을 이용하고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하기
5. 블루투스 등 무선인터페이스는 사용 시에만 켜놓기
6. 이상증상이 지속될 경우 악성코드 감염여부 확인하기
7. 다운로드한 파일은 바이러스 유무를 검사한 후 사용하기
8. PC에도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바이러스 검사하기
  ※ 시스템 부팅시 백신프로그램 실시간 감시기능 켜기
9. 스마트폰 플랫폼의 구조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기
10. 운영체제 및 백신 프로그램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7604206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