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초기 증상이 없는 침묵의 살인자 ‘간암’ - 간암의 조기진단과 예방, 간이식까지 한눈에 보는 간 건강
  • 기사등록 2017-09-21 01:20:55
  • 수정 2017-09-21 01:20:59
기사수정

매년 1만 2천여 명 사망! 환자의 80%는 남성! 평균 발병 나이 56세!

바로 간암이다. 간암 환자 대부분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했다’고 말한다. 증상이 있더라도 간질환 병력이 있던 환자에게서 주로 생기기 때문에 기존 간질환과 간암의 증상을 혼동해 암이 생겼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중년 남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간암
간암의 주요 원인은 B형 간염, C형 간염, 간경화로 약 95%가 간질환에서부터 시작된다. 특히, 간경화가 발생한 환자와 활동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암 발생 위험이 높다.

최근 간암발생 연구에 따르면, 지방간도 발병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지방간염 환자의 20~30%는 간경화로 이어지며 간암으로 악화되는 사례가 지속해서 확인되고 있다.

간암은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지만, 예방이 어렵다면 가능한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좋다. 조기진단 시 완치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간암의 특성을 고려할 때, 조기진단은 환자에게 너무나 어려운 단어임에 틀림없다.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심재준 교수는 “국가 암 검진사업을 통해, 40세 이상은 간암 검진 비용이 지원되고 있어 부담이 적은 편이다. 특히, 술자리가 잦은 40대 직장인은 예방 차원에서 검사를 꼭 받는 것이 좋다”라며 검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 간암 고위험군 여부 알 수 있어
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만으로도 간암의 고위험군에 속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심재준 교수는 “가장 확실한 검사는 MRI로 간암을 확인하는 것이지만, 복부 초음파, 혈액 검사로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개월,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초음파, 혈액 검사를 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라고 밝혔다.

간암 고위험군에 해당되면 3~6개월에 한 번씩 혈액검사와 간 초음파 검사를 병행해야 한다. 간경변이 심해 초음파 진단이 어려우면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추가로 진행해 조기에 간암을 발견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건강한 간을 위한 5가지 Tip]
1) 간염검사와 예방접종하기
2) 술과 불필요한 약 삼가기
3) 음식 골고루 먹기
4)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최소 30분 운동하기
5) 간질환 환자는 3~6개월마다 정기검진하기

◆간 절제술, 초기 환자에게 효과적
간 절제술은 간경변증이 심하지 않거나 암세포가 혈관을 침범하지 않았을 때 시행한다. 종양이 위치한 곳을 일부 잘라내기 때문이다.

경희대병원 간·담도·췌장외과 김범수 교수는 “간 절제술은 간암 초기 환자에게 효과적이지만, 조기진단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실제로 간 절제술을 받을 수 있는 환자는 드물다”라고 밝혔다.

또 간을 일부 절제하기 때문에 간의 크기가 줄어들어 정상적인 간 기능을 회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간이식, 간경변증과 간암을 동시에 잡을 수 있어
간이식은 정상인의 간을 적출해 환자에게 이식하는 치료법이다. 종양의 크기가 작고 개수가 적은 경우에 시행할 수 있으며, 간경변증과 간암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이상적인 치료방법이다.

물론 간 이외의 전이도 없다. 간이식의 효과는 높은 편으로 간이식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에 달한다.

간이식은 적출대상자에 따라 2가지 방법으로 나눠지는데, 뇌사자의 간 전체를 절제해 이식하는 뇌사자 간이식과 살아 있는 사람의 간 일부를 절제해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이다. 국내에서는 뇌사자로부터의 이식보다는 가족, 친척에 의한 생체 간이식이 많이 이뤄진다.

김범수 교수는 “생체 간이식은 검사를 통해 기증자의 간 기능과 크기를 확인하고 안전하다고 판단될 때 이식한다”며, “대부분 간 좌엽을 절제해 기증하고 수술 후, 6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나면 간은 재생작용을 통해 원상태로 회복하기 때문에 기증자에게 큰 문제는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뇌사자 간이식은 의료기관을 통해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대기자로 등록한다, 소화기내과 및 이식외과 진료, 장기이식센터 코디네이터의 상담이 병행된다. 이식 순서는 환자 응급도에 따라 정해지고 있다.

생체 간이식은 기증자 기준, 만 16세 이상 55세 이하이고, 수혜자와 일치하는 혈액형 보유자여야만 가능하다. 기증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우선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510031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③]분당서울대, 양산부산대, 일산백,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12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강남세브란스, 강릉아산, 중앙대, 자생한방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23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고려대, 강동경희대, 일산백, 부민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