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한병원의사협의회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 연구’기본 데이터부터 신뢰 불가” - 김용익 이사장, 김윤 교수 등 관변학자들 퇴출 촉구
  • 기사등록 2019-02-14 00:03:23
기사수정

대한병원의사협의회(이사 병의협)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 김용익 이사장과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 등을 관변학자들로 규정하고, 퇴출을 촉구하고 나섰다.  

병의협이 13일 문제로 제기한 부분은 공단이 발주한 연구용역에 대한 결과로 김윤 교수가 연구책임자가 되어 진행한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 3차 연구 최종 보고서(이하 최종 보고서)’에 대한 부분이다.


최종보고서에서는 미국의 Dartmouth Atlas, 영국의 NHS Atlas를 모델로 하여 ‘KNHI-Atlas’라고 명명한 의료이용지도를 통해서 정부와 공단은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최종 보고서에는 사실상 퇴출을 시사하는 300병상 이하 중소병원의 기능전환이라는 급진적인 정책까지 포함되어 있다.

김윤 교수는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의료이용지도연구를 통해 300병상 이하 중소병원 기능전환, 의료전달체계 개편, 공공의료 관련 정책, 필수의료 관련 정책 등을 진행할 학문적 토대가 마련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제시했다. 


병의협은 이 정책이 그대로 진행될 경우 여러 가지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이런 정책을 추진할 때는 명분이 확실해야 하고, 정책 추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병의협은 “문제는 의료이용지도 관련 연구들(중간보고서, 최종보고서)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은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연구 결과를 짜맞춘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 부분들이 보인다”며, “만약 연구가 신뢰성을 갖추지 못했다면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진되는 모든 정책은 명분이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병의협이 문제로 제시한 대표적인 부분은 중간 보고서에서 의료기관의 중증도보정사망비 수준에 따라 저사망률, 중사망률, 고사망률의 3군으로 나눴더니 고사망률군의 평균 급성기병상수는 310 병상이라고 제시하고, 사망률이 높은 300병상 이하의 중소병원은 사망률이 높아진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해당 연구 결과가 제시된 보고서의 표 ‘표15, 의료기관의 사망률 수준에 따른 capacity 차이’를 보면, 고사망률 (High mortality) 군의 백병상당의사수 평균 17.3, 표준편차 25.9, 백병상당간호사수 평균 52.0, 표준편차 105.3 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설명이다. 


병의협은 “고사망률군의 근무의사수와 간호사수가 마이너스인 병원이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 표만 보더라도 해당 연구 결과는 신뢰할 수 없음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통계 분석에서 표준편차의 범위가 너무 넓다는 말은 분석한 원 데이터 값 자체가 천차만별이라는 뜻이고, 이런 데이터로 진행한 연구는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며, “따라서 이러한 통계 결과가 나왔다면, 병상수에 따른 사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결론 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고 말했다.


반면 최근 의료이용지도연구의 중간 보고서로 지난 2016년 12월에 발표된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구축 연구(이하 중간 보고서)’에 대한 바른의료연구소의 반박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에 병의협은 “의료이용지도연구는 기본 데이터부터 신뢰할 수 없으며, 통계처리나 자료 해석 등에서 심각한 문제가 드러나서 신뢰할 수 없는 연구로 보여진다”며, “잘못된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문제는 이번 연구가 국민이 납부한 건강보험료가 투입되어 수행되었을 뿐 아니라, 연구 용역의 결과로 공단과 정부 정책의 방향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이 문제는 단순한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넘어갈 일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병의협은 “신뢰할 수 없는 연구 내용과 결과에 대한 책임을 연구책임자와 공단이 져야 할 것이며, 만약 이러한 문제가 의도적인 것이었다면 연구와 관련된 인물들은 퇴출되어야 한다”며, “이러한 문제들이 실수가 아니라 다분히 의도적이라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그 이유는 연구 세부 내용을 보았을 때 위 예를 든 부분과 같이 매우 의도적인 오류들이 보이기도 하고, 해당 용역을 발주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김용익 이사장은 국회의원이던 2015년 당시에도 300병상 이하 중소병원을 퇴출시키는 법안을 발의한 것은 물론 해당 연구를 수행한 김윤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 교실에서 김용익 이사장과 한솥밥을 먹은 동료이자 사제지간이라는 점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김용익 이사장과 김윤 교수의 이런 행보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병의협은 “김윤 교수는 2012년 6월 SBS 토론에서 포괄수가제가 ‘과소 진료에 따른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적시한 자신의 학생 강의록까지 부인하면서까지 포괄수가제 강행에 적극 찬성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로 인해 그의 학자로서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결국 강행한 포괄수가제의 여파로 정책의 주 대상이었던 산부인과가 직격탄을 맞아 현재 우리나라의 분만 인프라가 망가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도 그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신포괄수가제, 의료전달체계 개편, 문케어 등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하면서 정권의 입맛에 맞는 사회주의 의료정책을 내놓으며 대한민국 의료를 망가뜨리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김용익 이사장, 김윤 교수 등의 인물들을 포함한 관변학자들과 의료 사회주의자들이 추진하는 정책들이 반복적으로 실패하고 있음에도 이들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오히려 현재도 국가의료 정책을 좌지우지 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절망적이라는 입장이다. 

병의협은 “현재 큰 논란이 되고 있는 문케어부터 의료전달체계 개선, 만성질환관리제, 커뮤니티케어, 심사체계 개편(경향심사) 등에도 깊이 관여해서 위원회에 참여하고, 각종 연구 발주를 맡으면서 자신들의 이념에 맞는 정책들을 강행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하지만, 이번에 드러난 의료이용지도연구의 수 많은 문제점이나 이전에 반복된 정책 실패 사례들을 보았을 때, 현재 이들이 허울좋게 포장하여 강행하고 있는 각종 제도들의 결과가 우리 사회, 의료제도를 어떻게 망가뜨릴지는 상상하기도 무서울 지경이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병의협이 촉구하는 핵심 요구는 다음 4가지이다. 

▲정부와 공단은 의료이용지도구축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의 진위여부와 학문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만약 의도적인 조작 등의 문제가 드러난다면 해당 연구 책임자인 김윤 교수를 의료 정책관련 모든 위원회 및 연구 용역에서 즉각 해임하라. 또한 연구용역 비용으로 낭비된 건강보험료를 즉각 회수하고, 더불어 그가 그간 진행해온 모든 연구 용역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해 전수조사를 실시하라.

▲정부는 의료이용지도구축연구의 조작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김윤 교수와 김용익 이사장 사이에 부적절한 거래나 묵인 등이 있었는지 즉각 수사하라.

▲정부는 문케어를 포함해 의사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이들의 잘못된 주장을 바탕으로 일방적으로 강행하고 있는 그릇된 제도의 시행을 즉각 중단하고, 잘못된 의약분업을 포함해 이들이 관여한 정부 정책에 대해서 즉각 재평가를 시행하라.

▲정부는 대한민국에 사회주의 의료제도를 고착화시키려고 하는 관변학자들과 의료 사회주의자들을 즉각 퇴출시키고, 지속 가능한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해 의료계의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하라


병의협은 “잘못된 제도의 강행은 단순히 의사들만을 힘들게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천문학적 건보 재정과 세금의 낭비부터 의료 인프라 붕괴로 인한 국민 건강권의 침해, 그리고 의료진의 생명까지 빼앗아 가버리는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특히나 현재 관변학자나 의료사회주의자들이 추진하는 대로 의료정책들이 결정되면, 대한민국 의료는 완전한 사회주의 의료체제로 굳어질 것이고 이렇게 되면 의료의 질 저하는 불을 보듯 뻔하다”고 강조했다.

또 “쿠바나 동유럽 등의 공산주의 국가뿐만 아니라 북유럽 등에서도 심각한 의료 질 저하가 발생하여 실패한 제도임이 드러난 사회주의 의료제도를 대한민국 국민들이 경험하게 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를 정부는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945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알피바이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한올바이오파마, 티움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화약품, 한국다케다제약, 한국팜비오, GC셀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