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무더운 여름철 ‘당뇨발’ 주의 필요…생활관리 매우 중요 - 작은 상처로 다리 절단까지…노출 늘어 외부자극 증가
  • 기사등록 2018-07-01 00:59:36
기사수정

당뇨발은 작은 상처로 시작해 최악의 상황에는 발을 절단할 수 있어 당뇨환자에게는 두려움의 대상이다. 때문에 평소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요즘처럼 무더운 여름에는 노출이 많아 외부자극을 받기 쉽고,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세균번식이 활발해질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당뇨 환자 60% 이상 발 합병증 경험

당뇨 합병증은 높은 혈당이 혈액순환장애와 몸 곳곳의 신경세포 손상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당뇨발’은 말초혈관질환, 신경병증, 궤양 등 당뇨병으로 인해 발에 생기는 모든 문제를 말하며, 대표적 당뇨 합병증이다. 


실제 당뇨환자 중 60~70% 정도는 평생 한번 이상은 발 합병증을 경험한다. 당뇨발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은 족부궤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만 14,364명이 당뇨병성 족부궤양 질병코드(E1070, E1071, E1170, E1171, E1270, E1271, E1370, E1371, E1470, E1471)로 병원을 찾았다.


◆작은 상처로 시작해 다리 절단할 수도

당뇨발은 혈액순환 장애와 신경손상이 주요 증상으로, 방치할 경우 심한 궤양으로 발전해 다리를 절단할 수도 있다. 당뇨환자는 신경손상으로 통증, 온도 변화에 둔감해져 상처가 나도 모른 채 방치하기 쉽다. 또한 말초혈관질환이 있으면 상처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하여 영양이나 산소 공급이 줄어들게 되어 발의 상처나 궤양 등 감염증이 잘 낫지 않게 된다. 때문에 작은 상처로 시작했더라도 쉽게 궤양으로 진행되고, 심해지면 결국은 절단 수술까지 갈 수 있다.


◆고온다습한 여름 환경, 당뇨발 건강 주의보

당뇨발 환자는 평소에도 관리가 중요하지만, 요즘처럼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더운 날씨 탓에 샌들, 슬리퍼 착용이 늘어 외부 자극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고, 고온 다습한 여름 환경으로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면서 작은 상처도 염증으로 발전이 쉽기 때문이다. 족부궤양의 경우 작은 문제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관리가 잘되면 심각한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 

외부자극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더워도 양말과 막힌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고, 실내에서도 슬리퍼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땀이 많이 날수 있으므로 자주 씻고 씻은 후에는 발가락 사이사이까지 충분히 말려야 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안정태 교수는 “무엇보다도 발을 손처럼 자주 들여다보고 상처가 생겼는지, 색깔은 어떤지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절단수술 시 혈관상태 등 궤양 원인 먼저 해결

당뇨병 환자는 발에 작은 상처가 생겼더라도 일단 병원을 찾아야한다. 발에 궤양이 생겼을 경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죽은 조직을 제거하고, 궤양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것이다. 만약 궤양이 심해져 절단이 필요하다면 궤양의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안정태 교수는 “혈관이 막혔다면 혈관을 뚫어놓고 정리해야 한다”며, “혈관이 정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술을 진행하면 혈관이 막혀서 피가 흐르지 않는 상황에서 자르고 꿰매 놓으면 치료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생각지도 못했던 치명적인 결과가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자르고 꿰맨 부위는 혈액 공급이 많이 필요해, 정상적인 신체에서는 말초 혈행이 더욱 풍부해지면서 상처 치유을 더욱 촉진하지만, 혈관 상태가 좋지 않다면 상처 치유 환경이 좋아지기 어려우므로, 결국 상처가 더 안 좋아지고, 더 썩어 들어가는 경우가 아주 많다.


◆초기부터 혈관·신경·감염 등 종합적인 관리 필요

당뇨발 치료의 가장 큰 목표는 가능하면 절단 수술을 피하는 것이다. 절단 수술을 하게 되면 보통 의족을 착용하게 되는데, 필연적으로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진다. 설사 발가락이 없더라도 발 뒤꿈치가 남아있어 두 다리로 딛고 설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상당히 큰 차이이므로, 당뇨발의 치료는 처음부터 전체적인 통찰을 해서 접근해야 한다. 절단 수술은 그리 단순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서양에서는 예전부터 조기에 절단하고 의족을 빨리 착용하여 이전의 생활로 빨리 복귀하는 것이 미덕이었다. 하지만 동양 문화권에서는 신체발부는 수지부모라는 기저 의식이 있어 절단에 대해 무척 부담스러운 마음을 가져왔다. 무릎 주변의 절단술은 생각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무릎 주변의 절단은 이후 활동량의 저하, 말초 순환계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나타나므로, 환자의 생존율이 일부 암에 비견될 정도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혈액 순환 상태, 혈당 조절, 신경통 등의 합병증 관리, 감염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630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1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③]분당서울대, 양산부산대, 일산백,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12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강남세브란스, 강릉아산, 중앙대, 자생한방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23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고려대, 강동경희대, 일산백, 부민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